본문 바로가기
Ecolife

동대문 환경자원센터 화재, 유독가스,대피 방법

by orangeduck 2024. 5. 15.
반응형

동대문구 용두근린공원에 위치한 환경자원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했어요. 저는 주민 커뮤니티를 통해 처음 소식을 접했는데 주민분이 올리신 사진을 보니 정말 시커먼 연기가 치솟고 있어서 깜짝 놀랐어요. 화재로 발생한 가스 냄새가 굉장히 심해서 인근 주민분들은 창문도 열지 못하고 외출도 삼가고 계신다고 해요. 비가 많이 내리는데도 불구하고 진화 작업이 9시간 이상 길어지고 있고 불길은 보이지 않지만 검은 연기가 계속 올라와서 정말 걱정이 되네요.


동대문구 환경자원센터는 동대문구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설로,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용두근린공원 지하에 자리 잡고 있어요. 무려 지하 3층 깊이의 폐기물 처리 시설이 2010년 처음 문을 열었다고 해요. 이곳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쓰레기 처리 시설이 있고, 일반 쓰레기를 최대한 부피를 줄여 수도권 매립지로 보내는 압축 설비도 있다고 해요. 현재 불이 난 곳은 지하 3층의 음식물 쓰레기 탈취 시설로 알려져 있어요. 지하 2층의 플라스틱 폐기물로 불이 옮겨붙으면서 검은 연기와 냄새가 굉장히 심하고, 진화 작업이 매우 어렵다고 해요. 게다가 지하 3층까지 진입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어렵고 복잡하다고 해요. 


요즘 정말 화재 소식이 많이 들려오는 것 같아요. 동대문구 환경자원센터의 화재는 인명피해가 없어서 정말 다행이지만, 최근 여러 화재 사건에서 안타깝게도 많은 분이 소중한 생명을 잃었어요.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에 의한 피해보다 유독 가스로 인한 피해가 아주 크다고 해요. 특히 이번 화재처럼 플라스틱이나 건축 마감재가 타면서 다양한 독성 물질을 배출해요. 폼알데하이드나 황화 가스같이 우리가 발암물질로 알고 있는 물질은 화재가 진화되었다 하더라도 안심할 수 없어요. 이러한 화재 발생 시 화재가 진압된 이후에도 화재 현장을 찾지 않으시는 것이 좋고, 연기가 계속 나고 있다면 반드시 외출을 자제하고 창문을 절대 열지 않으셔야 해요. 실내에 공기청정기가 있다면 사용해 주시고 호흡기가 약한 분들은 마스크를 착용해 주시는 것이 좋아요. 


화재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만큼 화재 대피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볼게요. 
화재가 발생한다면 제일 먼저 화재 경보나 비상벨 등을 눌러서 화재 상황을 알리고 '불이야 큰 소리로 외쳐 주위에 알려주세요. 
불이 난 위치에 따라 어떻게 대피할지 결정해야 해요. 문을 이용해 밖으로 탈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창문을 통해 공기를 확보하고 구조를 기다려야 해요. 완강기가 설치된 건물이라면 완강기를 이용해 대피할 수 있어요. 아파트의 경우 베란다를 마주하는 옆집과 연결된 경량 칸막이가 있을 수 있어요. 이 칸막이를 부수고 옆집을 통해 대피할 수 있어요.  


밖으로 대피할 때는 엘리베이터가 아닌 계단을 이용해 대피해 주시고 화재가 발생한 곳의 문을 꼭 닫아주세요. 산소 유입을 차단해 불이 번지는 것을 막고 연기 비상계단이나 다른 집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야 해요. 계단을 이용해 아래층으로 내려갈 수 없다면 옥상으로 대피해야 해요. 이동 시 문을 열게 된다면 손잡이가 뜨겁지 않은지 살짝 손등으로 만져본 후에 문을 열어야 해요. 손잡이가 뜨거우면 문 안쪽에 화재가 발생했을 수 있으니 다른 출구를 찾아야 해요. 


불길을 통과해야 한다면 수건이나 옷을 물에 적셔 입과 코를 막아 연기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해야 해요. 뜨거운 연기를 흡입하여 코와 입, 기도에 화상을 입으면 정말 위험해요. 이동하실 때는 낮은 자세로 이동하며 앞이 보이지 않을 때는 한 손으로 벽을 짚고 이동해야 해요. 손을 번갈아 집으면 앞이 안 보이는 상태에서 출구를 찾지 못해 헤맬 수 있어요. 


제가 일하고 있던 건물에 화재경보기가 울렸는데, 사람들이 너무 아무렇지도 않게 일을 하고 있었던 적이 있어요. 그냥 화재경보기가 가끔 그러니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데, 정말 실제 상황이면 얼마나 위험할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요즘처럼 화재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데 아직도 안전 불감증이 우리 의식 속에 사라지지 않은 것 같아요. 모든 국민이 화재 예방 교육과 화재 대피 방법, 소화기 사용법 등 화재에 관련된 여러 가지 교육을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이번 화재로 인한 유독 가스 발생으로 인한 피해도 간과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또 화재로 발생한 다양한 오염물질이 2차 적인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사후 관리도 철저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아무쪼록 진화 작업에 투입된 소방관님들과 현장 출입 통제를 위해 근무하시는 많은 경찰관, 공무원님들도 건강에 유의하시기를 당부드려요.   

반응형